아이소망산부인과 아이소망산부인과

아이소망 소식
HOME > 아이소망 소개 > 아이소망 소식
상담상세보기
생후10개월 영아 신경학적 발달 <아이소망 소아청소년과>
날짜: 2020-09-30 조회수: 1409


생후 10개월 영아


일반적으로 10개월 영아는 붙잡고 일어설 수 있는 시기이다.


따라서 이 시기에 잡아주어도 서지 않는 것은 발달이 늦다는 것을 시사한다.


운동발달은 이 시기에는 중뇌에서 대뇌수준으로 이전되어 가는 시기이므로 비대칭성 긴장성 목 반사와 같은 원시반사들은 완전히 소실되고 낙하산 반응이 출현한다.


언어발달의경우 남의 소리를 따라하는 경우가 많고 “엄마”, “아빠”라는 현을 하기도 한다.


또한 이 시기에는 사회성의 발달이 눈에 띄게 드러나는 시기이어서 어른들의 행동을 흉내내고, “깍꿍”, “짝자꿍”, “빠이빠이” 등의동작을하게되며 “맘맘” 등을하면서 식사를 재촉하기도 하며, “안돼”하면손으로 얼굴을 가리는 동작을 하곤 한다.


그러나 이런 행동 중 어떤 것들은 하면서 어떤 하나를 못한다고 이상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.



1) 평가 방법


(1) 서기(standing)


신생아기에 반사적으로 발을 떼며 걸으려 시늉을 내던 것은 생후 수주 내에 소실되고 약 3개월 정도 되면 잡아주면 하지에 제법 힘을 주며 몸을 지탱 할 수 있게된다.


5-6개월이 되면 앉아있는 영아를 세워서 잡아주면 자신의 몸을 대부분 지탱하고 서며 (Fig. 10A), 6-7개월이 되면 약간만 잡아주어도 몸을 지탱하며 서고, 8-10개월경에는 가구 같은 것을 붙잡고 혼자서 몸을 일으켜 서기 시작하며(Fig. 10B), 11개월에는 붙잡고 옆으로 걷고, 12개월에는 혼자서 몸을 일으켜 서고 걷기 시작한다.



(2) 낙하산 반응(parachute response)


<낙하산 반응>


① 시행방법:


영아의몸통을 잡고 바닥을 향하여 머리를 아래로 떨어뜨리면서 양 상지를 관찰하면 양손과 팔을 뻗어 방어하는 자세를 취한다(Fig. 11).


② 정상소견 및 검사의 의의:


정상에서는양손을대칭적으로 뻗어 방어하는 자세를 취하는데 이런 반응이 없거나 비대칭적인 소견을 보이면 심한 중추 신경계의 이상을 시사한다.


협력업체

협력병원고려대학교 안암병원차병원인하대병원인천성모병원가천대길병원

회사정보